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용어

경제용어- 경제심리지수(ESI)란?

by 성장하는 고단이 2022. 5. 19.
반응형

경제심리지수 (ESI)

경제심리지수란 기업가 또는 소비자들의 경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작성한 지표이며, 대표적으로 조사대상을 기업가로 하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Business Survey Index)와 소비자로 하는 소비자동향지수(CSI; Consumer Survey Index)가 있다.

 

경제심리지수 구분 (조사대상에 따른 구분)
- 기업경기실사지수(BSI) : 기업 대상 경제인식 조사
- 소비자동향지수(CSI) : 소비자 대상 경제인식 조사

 

그런데 심리지표와 실물지표는 대체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지만 때로는 미래 정보 및 기대 수준의 반영 여부, 질적 통계와 양적 통계 간의 조사 척도 차이 등에 따라 다소 괴리되는 움직임을 보이기도 한다. 이에 따라 한국은행은 BSI와 CSI를 합성하여 민간의 경제상황에 대한 인식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경제심리지수(ESI; Economic Sentiment Index)를 작성・발표하고 있다.

 

ESI는 BSI와 CSI 중 경기연관성이 높은 항목을 선정하여 이들의 표준화 지수를 가중 평균하는 등의 과정을 거쳐 산출한다. ESI가 100을 넘으면 현재 민간의 경제심리가 과거 평균보다 낙관적임을, 100 미만이면 과거 평균보다 비관적임을 각각 나타낸다.

 

 

연관검색어 :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소비자동향지수(CSI)

 

경제용어-기업경기실사지수(BSI)와 소비자동향지수(CSI)

경제심리지수 (ESI) 한 나라의 전체 경기는 기업과 소비자들이 느끼는 경기를 종합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전반적인 경기 상황을 판단하는데 도움을 얻고자 기업 및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godan.tistory.com

 

출처 : 한국은행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