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용어

경제용어-고정환율제도/자유변동환율제도

by 성장하는 고단이 2022. 5. 24.
반응형

고정환율제도/자유변동환율제도

환율제도는 고정환율제도(fixed exchange rate system)와 자유변동환율제도(free floating exchange rate system)를 양 극단으로 하여 이를 절충하는 다양한 형태로 분류될 수 있다.

 

고정환율제도는 외환의 시세 변동을 반영하지 않고 환율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환율제도이다. 반면 자유변동환율제도는 환율이 외환시장에서 외환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자율적으로 결정되도록 하는 환율제도를 말한다.

 

고정환율제도를 시행하게 되면 환율 변동에 따른 충격을 완화하고 거시경제정책의 자율성을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특정 수준의 환율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정부나 중앙은행이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을 실시하는 데 있어 국제수지 균형을 먼저 고려해야 하는 제약이 따르고 불가피하게 자본이동을 제한해야 한다. 또한, 경제의 기초 여건(fundamentals)이 악화되거나 대외 불균형이 지속되면 환투기 공격에 쉽게 노출되는 단점이 있다. 반면 자유변동환율제 도하에서는 자본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므로 국제 유동성 확보가 용이하고 외부 충격이 환율 변동에 의해 흡수됨으로써 거시경제정책의 자율적 수행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다만 외환시장 규모가 작고 외부 충격의 흡수 능력이 미약한 개발도상국은 환율 변동성이 높아짐으로써 경제의 교란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한편 어떤 환율제도라도 통화정책의 자율성, 자유로운 자본이동, 환율 안정 등 세 가지 정책목표를 동시에 만족시키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우며 이를 삼불 원칙 (impossible trinity, trilemma)이라고 한다.

 

연관검색어 : 삼불원칙, 외환시장

 

외환시장과 외화자금시장에 대해 알아보자

외환시장 외환시장은 좁은 의미에서 외환의 수요와 공급이 연결되는 장소를 말하나 넓은 의미에서는 이러한 장소적 개념뿐만 아니라 외환거래의 형성, 결제 등 외환거래가 정기적 또는 지속적

godan.tistory.com

 

출처 : 한국은행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