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생산자물가지수(PPI)
국내 시장의 제1차 거래단계에서 기업 상호 간에 거래되는 상품과 서비스의 평균적인 가격 변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작성되는 물가지수로서 그 대상품목의 포괄범위가 넓어 전반적인 상품과 서비스의 수급 동향이 반영된 일반적인 물가수준의 변동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목적 지수로서의 성격을 갖는다.
지수작성에 이용되는 가격은 제1차 거래단계의 가격 즉, 생산자가 제품 한 단위당 실제로 수취하는 기초 가격이다. 생산자물가지수는 1910년부터 한국은행에서 작성해 오고 있다.
연관검색어 : 소비자물가지수(CPI), 기초가격
경제용어-기초가격이란?
기초가격 기초가격(basic price)은 일정기간 동안 경제주체가 생산한 생산물을 가격으로 평가함에 있어 생산자가격에서 부가가치세와 같은 생산물세(prodution tax)를 제외하고 정부에서 주는 보조금(
godan.tistory.com
경제용어-소비자물가지수(CPI)
소비자물가지수(CPI) 일반 가구가 소비생활을 유지하기 위하여 구입하는 각종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작성되는 물가지표이다.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지수는
godan.tistory.com
출처 : 한국은행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