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수출입물가지수
수출입 물가지수는 수출 및 수입상품의 가격 변동을 측정하는 지표
수출입물가지수의 활용
대외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의 경우 수출입 상품의 가격 변동이 국내 물가, 생산활동 및 대외 경쟁 등에 미치는 효과를 사전에 측정하기 위해 작성되며 주로 수출입관련업체들의 수출채산성 변동이나 수입원가 부담 등을 파악하는 한편 수출입물가지수의 상호 비교를 통하여 가격 측면에서의 교역조건 등을 측정하는 데에 이용된다.
2017년 기준으로 조사대상품목이 수출물가지수는 203개, 수입물가지수는 233개이며, 조사되는 가격 기준은 수출 FOB, 수입 CIF를 원칙으로 하고 있다.
수출입 물량지수
무역지수 중 수출입 물량의 변동을 나타내 주는 것으로 수출입금액 지수를 수출입물가지수로 나누어 사후적으로 산출되는데 이러한 방식으로 산출되는 것은 수출입금액이 단가 요인과 물량 요인의 합과 일치한다는 점에서 타당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수출입 물량지수의 활용
수출입 물량지수는 원유 등의 가격이 변화함에 따라 수출입액이 큰 폭의 변동을 보이는 경우 동 가격요인을 제외한 물량기준으로 우리나라의 수출입상황을 파악하는데 활용되는 지표이다.
출처 : 한국은행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