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테크
핀테크(FinTech)는 ‘금융’(finance)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기존 디지털 기술 혁신을 통해 금융서비스를 획기적으로 효율화하거나 새 금융서비스를 출시하는 것을 뜻한다.
혁신 정도에 따른 구분
- 전통적(traditional) 핀테크
- 신흥(emergent) 핀테크
전통적 핀테크
기존 금융서비스의 가치사슬 안에서 그 서비스의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즉 기존 금융서비스를 자동화하려는 금융회사가 가치사슬의 핵심에 위치하고 IT기업은 이를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 씨티은행이 블록체인 및 분산원장기술을 활용해서 디지털 화폐(Citicoin)로 글로벌 본・지점을 연결하여 자금을 결제・청산하는 시스템
신흥 핀테크
신흥 핀테크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IT기업이 가치사슬의 핵심을 맡고 기존 금융서비스 전달체계를 변혁하여 파괴적 (disruptive) 속성을 갖는다. 지점이 없는 인터넷 전문은행이 공인인증서 없는 비대면 거래로 기존 관행을 파괴함으로써 단기간에 대규모 고객을 확보하거나, 대출금리와 송금수수료도 파격적으로 낮춤으로써 기존 은행의 금리 및 수수료를 인하시키는 것을 예시로 들 수 있다.
이외에도 핀테크 사례로서 인터넷뱅킹・모바일지급서비스・크라우드 펀딩・P2P대출・로보어드바이저・스마트계약・바이오인증 금융거래 등을 들 수 있다.
연관검색어 : 분산원장기술, 전자화폐, 가상통화, 비트코인, 블록체인, 크라우드펀딩, P2P대출, 스마트계약, 바이오인증, 빅데이터
경제용어-점점 더 중요해지는 빅데이터
빅데이터(big data)란 복잡하고 다양한 대규모 데이터세트 자체는 물론 이 데이터세트로부터 정보를 추출하고 결과를 분석하여 더 큰 가치를 창출하는 기술을 뜻한다. 수치 데이터 등 기존의 정형
godan.tistory.com
경제용어-바이오인증
바이오인증(Biometric Authentication, biometrics)은 개인을 식별하거나 인증하기 위해 각 개인마다 구별해서 측정할 수 있는 고유 생체정보를 자동화된 장치로 추출하여 보관하고 인증하는 기술이다. 생
godan.tistory.com
경제용어-전자화폐/전자상거래/전자서명/전자금융
전자화폐 IC카드 등에 화폐가치를 저장하였다가 상품 등의 구매에 사용할 수 있는 전자지급수단으로써 범용성과 환금성을 갖춘 것을 말한다. 가치저장 매체에 따른 전자화폐(electronic money)의 유
godan.tistory.com
경제용어-크라우드펀딩
크라우드펀딩이란? 크라우드펀딩(crowd funding)은 온라인 플랫폼(중개업자)을 통해 다수의 개인들로부터 자금을 조달하는 금융서비스이다. 행위주체 ① 아이디어 또는 프로젝트 기획자(자금수요
godan.tistory.com
경제용어-P2P대출
P2P대출(peer-to-peer lending)은 온라인상에서 자금공급자(투자자)와 자금 수요자 (차입자) 간 전통적인 금융회사의 중개 없이 자금중개가 이뤄지는 금융활동의 하나이다. P2P(peer-to-peer)는 원래 인터넷
godan.tistory.com
경제용어-가상통화란? 블록체인/비트코인
가상통화(virtual currency)란? 중앙은행이나 금융기관이 아닌 민간에서 블록체인을 기반 기술로 하여 발행・유통되는 ‘가치의 전자적 표시’(digital representation of value)로서 비트 코인이 가장 대표
godan.tistory.com
경제용어-분산원장기술이란?
분산원장기술이란? 분산원장기술(DLT;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은 거래정보가 기록된 원장을 특정 기관의 중앙 서버가 아닌 공유(P2P; Peer-to-Peer) 네트워크에 분산하여 참가자가 공동으로 기록・관
godan.tistory.com
경제용어-스마트계약 (블록체인을 이용한 디지털혁명)
스마트계약(smart contract)은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일정 조건이 만족되면 자동으로 거래가 실행되도록 작성된 컴퓨터 프로토콜 또는 코드를 뜻한다. 1996년 닉 자보(Nick Szabo)가 이 용어를 처음으로
godan.tistory.com
출처 : 한국은행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