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경쟁력 지수
국가경쟁력은 국제경쟁력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흔히 한 나라가 사업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해 국민경제의 성장 및 국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이끌어내는 능력을 말한다.
국가경 쟁력지수는 국가경쟁력을 주요 구성요소별로 평가, 합산해 지수화한 것으로 관점에 따라 상이할 수 있는데, 현재 널리 알려진 것으로는 세계경제포럼(WEF)과 국제경영개발 원(IMD)에서 편제하고 있는 두 가지가 있다.
세계경제포럼은 하버드경영대학원의 도움을 얻어 주요 국제기구와 산업계 인사들에 대한 여론조사 결과 등을 토대로 매년 세계 각국의 국제경쟁력 지수를 발표하고 있다.
세계경제포럼의 국가경쟁력지수 구성
- 성장 경쟁력 : 기술 수준, 공공기관, 거시경제환경 등 3개 부문 8개 항목
- 미시 경쟁력 : 기업 전략 및 운영, 비즈니스 환경의 질적 수준 등 2개 부문
세계경제포럼 부설 국제경영개발원도 세계 70여 개 국가의 경쟁력을 주요 통계지표와 기업인 및 연구원 대상 설문조사 결과를 근거로 평가해 국제경쟁력 지수를 발표한다.
세계경제포럼 부설 국제경영개발원의 국가 격쟁력 지수 구성
- 사회간접자본, 정부의 효율성, 경제 운용성과, 기업의 경영효율성 등 4개 부문으로 구성
세계경제포럼(다보스포럼)
저명한 기업인, 경제학자, 언론인, 정치인들이 모여 세계 경제를 개선하기 위한 과제를 토론하고 연구하는 회의체이다.
본부는 스위스 제네바에 있으나 매년 1~2월경 스위스 동부의 다보스에서 연차총회가 개최되기 때문에 다보스포럼(Davos Forum)이라고도 불린다. 1971년 클라우스 슈바브(Klaus Schwab) 교수에 의해 창설되어 비영리재단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당초에는 유럽의 기업 경영자들이 참석하는 유럽경영포럼 (European Management Forum)으로 출발하였으나 1973년부터 참석대상을 전 세계로 확대한 데 이어 1974년에는 정치지도자를 처음으로 초청하였다.
1976년에 회원 기준을 세계의 1,000개 선도 기업으로 하는 회원제도를 도입하였고 1987년에는 명칭을 세계경제 포럼(WEF; World Economic Forum)으로 변경하였다.
WEF는 초청된 인사들에게만 참석을 허용하고 초청받지 않은 참석자는 적지 않은 참석비를 내야 하는 등 배타적인 모임의 성격을 갖고 있다. WEF는 연차총회 외에 지역별, 산업별 회의를 운영하고 있는데 2004년 한국에서 지역별 회의가 개최된 바 있다. WEF가 매년 발간하는 주요 보고서로는 글로벌 경쟁력 보고서, 글로벌 성별격차 보고서, 글로벌 인적자본 보고서 등이 있다.
출처 : 한국은행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