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용어

경제용어-국제통화기금(IMF)

by 성장하는 고단이 2022. 5. 29.
반응형

국제통화기금(IMF)

국제통화 및 금융제도의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국제금융기구로서 미국 워싱턴에 본부를 두고 1945년 12월 설립되었다.

 

설립목적

국제통화문제에 관한 협력, 국제무역의 확대와 세계경제의 균형적 성장, 외환의 안정 촉진, 다자간 결제제도 확립, 회원국의 국제수지 불균형 완화 등으로 되어 있다. 

 

활동

회원국의 환율정책 및 외환제도 관련 감시활동, 회원국에 대한 금융지원 및 기술지원, 특별 인출권(SDR)의 창출과 운영관리, 저소득국 지원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

 

회원국 가입에 특별한 제한을 두고 있지 않으며 안정적인 환율제도 운영, 경상지급에 대한 제한 철폐 등을 통해 국제통화문제에 협력할 의사가 있는 모든 나라에 대해 가입을 허용하고 있다. 가입 희망국은 총회에서의 가입 결의안 채택 후 할당된 쿼타(quota)를 납입함으로써 정식 회원국이 된다.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의 재원은 회원국의 쿼타 납입금으로 조달되며 필요한 경우 회원국 또는 민간으로부터 차입하고 있다. 조직은 총회와 이사회, 총회의 자문기구 인 국제통화금융위원회, 총재를 비롯한 집행부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6년 말 현재 IMF 회원국은 189개국이며 우리나라는 1955년 8월에 가입하였다.

 

연관검색어 : IMF 쿼타, 특별인출권(SDR)

 

경제용어-IMF 쿼타

IMF 쿼타 국제통화기금(IMF)에 대한 회원국의 출자금으로서 IMF 회원국의 국제수지 불균형 조정 등을 위한 신용공여 재원으로 사용될 뿐 아니라 투표권을 산출하고 IMF 신용 이용한도와 특별 인출

godan.tistory.com

 

경제용어-특별인출권(SDR)

특별인출권(SDR) 1968년 4월 국제통화기금(IMF) 이사회의 결의에 따라 국제 유동성 부족에 대처하기 위하여 1970년 도입된 일종의 국제준비통화이다. 1960년대 들어 미 달러화의 금태환에 대한 신뢰가

godan.tistory.com

 

출처 : 한국은행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