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리평가이론
완전한 금융시장에서 즉, 국경 간 자본이동에 규제가 없고 거래비용이나 세금 등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 2개국 간의 금리격차는 선물환 프리미엄(또는 스왑레이트)과 같다 는 이론이다.
예를 들어 1억원을 가진 우리나라의 투자자가 1년간 미국 또는 우리나라의 채권에 투자한다고 하자. 이 경우 완전한 금융시장에서는 1년 후 투자자가 받는 원리 금액은 한국에 투자한 것이든 미국에 투자한 것이든 같아야 하는데, 이는 아래 식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1억(1+i) = (₩1억/S)(1+i*)F
단, i: 한국 1년물 채권금리 i*:미국 1년 물 채권금리 S: 현물환율 F: 1년 만기 선물환율.
위 식은 아래 식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F-S)/S = (i-i*)
즉, 완전한 금융시장에서 양국간 금리차는 현물환율(S)과 선물환율(F) 간 차이를 현물환율로 나눈 것(흔히 스왑레이트라 한다)과 같아야 한다. 다만, 현실적으로는 거래비용 등이 있기 때문에 양자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데, 양자 간의 차이(내외 금리차-스왑레이트)가 커질 경우 환위험 없이 이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재정거래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금융시장이 안정적일 경우 양자 간 차이는 일정 범위 내에서 유지된다.
연관검색어 : 스왑레이트
경제용어-스왑레이트
스왑레이트 외환스왑시장의 가격변수인 스왑레이트(swap rate)는 현물환율 대비 선물환율과 현물 환율의 차이(=(선물환율-현물환율)/현물환율)를 연율(%)로 표시한 것으로 이론적으로는 양 통화 간
godan.tistory.com
출처 :한국은행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