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용어

경제용어-기본자본(Tier 1)이란?

by 성장하는 고단이 2022. 5. 12.
반응형

기본자본(Tier 1)

BIS 자기자본비율의 분자를 구성하는 자기자본 중 보통주자본(CET1; Common Equity Tier 1)과 기타기본자본(AT1; Additional Tier 1)을 함께 일컫는 말이다.

 

바젤Ⅱ 규제에서 자기자본은 기본자본, 보완자본과 단기후순위채무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바젤Ⅲ에서는 손실흡수력이 높은 보통주자본 중심으로 규제자본을 개편하면서 요건을 강화하였다.

 

즉, 단기후순위채권을 규제자본에서 제외하고 기본자본 요건을 보통주자본과 기타기본 자본으로 세분화하였다. 바젤Ⅲ에서는 기본자본비율이 위험가중자산의 6.0% 이상이 되도록 규정하고 있다.

 

연관검색어 : BIS 자기자본비율, 보완자본(Tier 2)

 

경제용어-보완자본(Tier 2)이란?

보완자본(Tier 2) 보완자본의 구성 요건을 충족하는 보완자본증권 및 이와 관련된 자본잉여금 자회사가 발행한 보완자본증권의 일부 제3자 보유분 특정 요건을 충족하는 대손충당금 등 해당 은행

godan.tistory.com

 

경제용어-BIS 자기자본비율

BIS 자기자본비율 1988년 6월 바젤은행감독위원회(BCBS)가 발표한 「바젤 자기 자본협약」(Basel Capital Accord)에 따른 자본규제(바젤Ⅰ) 비율을 의미한다. 위험가중자산 대비 자기자본비율로 산출하며

godan.tistory.com

 

출처 : 한국은행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