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용어

경제용어-기저효과

by 성장하는 고단이 2022. 6. 29.
반응형

기저효과(base effect)

경제지표 증가율을 해석할 때 기준시점과 비교시점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서 경제상황에 대한 평가가 실제보다 위축되거나 부풀려지는 등의 왜곡이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 호황기의 경제 상황을 기준시점으로 현재의 경제 상황을 비교할 경우 :  경제지표는 실제보다 위축된 모습을 보인다.

- 불황기의 경제 상황을 기준시점으로 비교할 경우 : 경제지표가 실제보다 부풀려져 나타날 수 있다.

 

기저효과는 물가 상승률을 설명할 때도 자주 이용된다. 예를 들어 지난해 여름에 태풍 피해로 농산물 가격이 급등하였다면, 전년 동기 대비로 계산한 올해 여름의 농산물 가격 상승률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날 것이다. 반대로 지난해 가을 기상여건 호조에 따른 공급과잉으로 과일 가격이 폭락하였다면 올해 가을의 과일 가격 상승률은 높은 수준을 보일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경제지표를 보다 정확히 해석하기 위해서는 기준시점에 특수한 상황이 발생했는지 살펴 보고, 그로 인해 비교시점의 지표가 어떤 영향을 받고 있는지 고려할 필요가 있다.

 

 

연관검색어 : 계절변동조정시계열

 

경제용어-계절변동조정시계열

계절변동조정시계열 경제의 움직임은 주로 일, 주, 월, 분기 또는 연간 등 일정기간을 기준으로 통계를 수집하여 파악하는데 이를 시계열이라 합니다. 대부분의 경제분석은 시계열의 수준보다

godan.tistory.com

 

출처 : 한국은행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