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용어

경제용어-기준순환일

by 성장하는 고단이 2022. 7. 4.
반응형

기준순환일이란 경기변동의 과정에서 국면전환이 이루어진 일자를 의미한다.

 

즉 경기 가 확장국면에서 수축국면으로 전환하는 경기 정점 또는 수축국면에서 확장국면으로 전환하는 경기 저점의 구체적인 일자를 말한다.

 

경기변동은 이론적이고 추상적인 개념이기 때문에 현실적으로는 생산, 소비, 투자, 고용 등 경기변동 상황을 비교적 잘 반영하는 여러 지표를 통계적으로 가공한 후 그 움직임을 파악하여 판단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기변동의 실증적 연구는 여러 방법에 따라 결과가 다양하게 나올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각국은 통계당국이 공식적인 하나의 기준 순환일을 정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통계청에서 기준순환일을 월 단위로 발표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기준순 환일은 경기변동이라는 추상적 개념을 현실적인 경제의 움직임과 구체적으로 연결시켜 주는 매우 중요한 고리의 역할을 한다.

 

기준순환일이란 용어가 언제부터 쓰이게 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으나 문헌상으로는 1940~50년대 전미경제연구소(NBER;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에서 발간한 경기변동 관련 연구로부터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연관검색어 : 경기, 경기종합지수, 동행종합지수

 

경제용어-경기/경기종합지수/경기동향지수(경기확산지수)

경기 경기(business conditions)라는 단어는 일상생활에서 경제적인 형편을 뜻하는 말로 자주 사용된다. 기업들은 매출이 늘고 채산성이 좋아지면 경기가 좋다고 인식할 것이고, 가계는 임금이 인상

godan.tistory.com

 

경제용어-선행종합지수, 동행종합지수, 후행종합지수의 차이점

경기종합지수란? 개별 경제지표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국민경제의 총체적인 경기 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경기종합지수를 작성한다. 경기종합지수는 선행종합지수, 동행종합지수, 후행종합지

godan.tistory.com

 

출처 : 한국은행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