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보어드바이저(robo-advisor)는 로봇(robot)과 자문가(advisor)의 합성어이다.
이는 인공지능 알고리즘, 빅데이터 등을 활용하여 투자자의 투자성향・리스크 선호도・목표수익률 등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투자자문・자산운용 등 온라인 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비용으로 작용하는 사람의 개입을 최소화함으로써 기존 자산관리서비스보다 더 낮은 최소 투자금액과 더 싼 수수료로 소액 자산을 가진 일반 개인도 더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의 형태
- 자문형 : 금융회사의 자문 또는 운용인력이 로보어드바이저의 자산배분 결과를 활용하여 고객에게 자문하는 형태
- 일임형 : 고객 자산을 직접 운용하는 형태
- 로보어드바이저가 고객에게 자문하거나 고객 자산을 직접 운용하는 형태
로보어드바이저 시장에서는 미국이 가장 앞서 나가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7년 12월 현재 금융기관의 28개 알고리즘이 코스콤(KOSCOM)의 제1, 2차 테스트베드를 통과하여 은행, 증권사 및 투자자문사 등 총 19개 금융기관이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연관검색어 : 빅데이터, 상장지수펀드(ETF)
경제용어-상장지수펀드(ETF)란?
상장지수펀드(ETF)는 주식, 채권, 통화, 원자재 등의 가격지수를 추종하는 것이 목표인 인덱스펀드의 지분을 거래소에 상장하여 일반주식처럼 거래토록 한 금융상품이다. 최초의 ETF(Exchange Traded F
godan.tistory.com
경제용어-점점 더 중요해지는 빅데이터
빅데이터(big data)란 복잡하고 다양한 대규모 데이터세트 자체는 물론 이 데이터세트로부터 정보를 추출하고 결과를 분석하여 더 큰 가치를 창출하는 기술을 뜻한다. 수치 데이터 등 기존의 정형
godan.tistory.com
출처 : 한국은행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