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밴드웨건 효과
소비자가 대중적으로 유행하는 정보를 쫓아 상품을 구매하는 현상을 말한다.
악대차(band wagon)는 악단을 선도하며 요란한 연주로 사람들을 끌어 모은다. 이 밴드웨건을 우르르 쫓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에서 유래됐다. 밴드웨건 효과(Bandwagon effect)는 결국 유행에 동조함으로써 타인들과의 관계에서 소외되지 않으려는 비이성적인 심리에서 비롯된다.
주식시장이나 부동산시장의 거품형성과 붕괴 현상도 밴드웨건 효과로 설명할 수 있다.
연관검색어 : 속물효과(스놉효과)
경제용어-속물효과(스놉효과)
속물 효과(스놉 효과) 개성을 추구하는 사람들은 단지 다른 사람들이 많이 구입한다는 이유만으로 특정 물품을 구입하지 않거나 심지어 자신의 옷과 똑같은 옷을 입은 사람을 보면 그 옷을 더
godan.tistory.com
베블런효과
가격이 상승하면 수요량이 감소하는 수요의 법칙에 반하는 재화를 베블런 재라 부른다.
사치재 또는 명품 등이 이에 해당하는데 이러한 재화는 가격이 비쌀수록 소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과시 욕구를 반영한 소비현상을 베블런 효과(Veblen's effect)라고 부른다. 베블런은 이러한 현상을 처음으로 관찰한 학자의 이름이다.
연관검색어 : 기펜재
경제용어-공공재/자유재/기펜재
공공재 공공재는 모든 개인이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재화 또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국방・경 찰・소방・공원・도로 등과 같이 정부에 의해서만 공급할 수 있는 것이라든가 또는 정부에 의해
godan.tistory.com
출처 : 한국은행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