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스왑레이트
외환스왑시장의 가격변수인 스왑레이트(swap rate)는 현물환율 대비 선물환율과 현물 환율의 차이(=(선물환율-현물환율)/현물환율)를 연율(%)로 표시한 것으로 이론적으로는 양 통화 간 금리차와 일치(covered interest rate parity)하게 된다.
스왑레이트는 금융기관의 자금사정을 나타내는 대용지표(proxy)로도 활용된다. 예를 들어 국내 금융 기관의 외화자금사정이 악화되면 금융기관은 외화조달의 방안으로 현물환 매입/선물환 매도(buy/sell) 스왑을 이용한다. 이 경우 현물환 매입 증가로 현물환율은 상승하고 선물 환매도 증가로 선물환율은 하락하게 되어 스왑레이트가 낮아진다. 반대로 금융기관의 원화자금사정이 악화되면 원화차입을 위한 현물환 매도/선물환 매입(sell/buy) 스왑 증가로 스왑레이트가 올라간다.
한편 스왑레이트가 내외금리차를 하회하면 외화차입 후 외환스왑(현물환매도/선물환매입)을 통해 원화를 조달한 다음 원화자산에 투자함으로써 환리스크 없이 이익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외금리차-스왑레이트’를 차익거래 유인으로 해석할 수 있다.
연관검색어 : 금리평가이론
경제용어-금리평가이론
금리평가이론 완전한 금융시장에서 즉, 국경 간 자본이동에 규제가 없고 거래비용이나 세금 등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 2개국 간의 금리격차는 선물환 프리미엄(또는 스왑레이트)과 같다 는 이론
godan.tistory.com
출처 : 한국은행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