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용어

경제용어-실업률갭이란?

by 성장하는 고단이 2022. 4. 16.
반응형

실업률갭

실업률갭은 실업률과 자연실업률간의 차이

실업률갭은 노동시장의 여력(slack)을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지표로, 잠재GDP와 실제GDP의 차이인 GDP갭과 함께 경기 수준 또는 경제 전반의 유휴자원을 파악할 때 유용합니다.

 

실업률갭이 양(+)인 경우에는 노동 공급 여력이 양호한 상황으로 인플레이션 압력이 높지 않음을 나타내며,
실업률갭이 음(-)인 경우에는 노동 공급 여력이 소진된 상황으로 노동력 확보 경쟁 등으로 인한 임금 상승이 인플레이션 압력을 높일 가능성이 큰 상황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물가안정을 주된 정책목표로 하는 중앙은행의 경우 실업률갭은 노동시장을 통한 인플레이션 상승 압력을 평가하거나, 통화정책 기조가 노동시장 수급 불균형 해소에 어느 정도 부합하는지 등을 살펴보는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다만 중앙은행이 실업률갭만을 염두에 두고 통화 정책을 운영하는 데는 한계가 있는데, 이는 실업률갭의 구성요소인 자연실업률이 실시간으로 관측되지 않고 추정방법도 다양하여 정확한 추정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중앙은행이 원하는 정책효과를 얻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연관검색어 : 제조업평균가동률갭, 자연실업률

 

경제용어-자연실업률

자연실업률이란? 1968년 프리드먼(M. Friedman)이 처음 제시한 개념으로, 경제의 균형 상태에서 상품시장과 노동시장 등의 구조적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 실업률을 말하며, 정부개입이 없을 때 시장

godan.tistory.com

 

경제용어-제조업평균가동률갭

제조업평균가동률갭 가동률은 사업체의 생산설비 이용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통상 가동률은 경기 상황이 좋지 않아 제품의 판매량이 감소할 경우 사업체가 생산량을 축소 조정하고 불필요한

godan.tistory.com

 

출처-한국은행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