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용어

경제용어-어음교환

by 성장하는 고단이 2022. 7. 29.
반응형

어음교환

다수의 은행이 일정한 시간에 특정 장소에 모여 자행이 수납한 어음(수표 및 제 증서 포함) 중 다른 은행을 지급지로 하는 어음과 다른 은행이 수납한 어음 중 자행을 지급지로 하는 어음을 서로 교환하고, 이에 따른 대금을 결제하는 것을 말하며 어음교환이 이루어지는 장소를 어음교환소라 한다.

 

어음교환제도의 장점

어음교환제도는 어음・수표의 추심에 따른 은행 업무부담 및 비용을 절감하고 추심 소요기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우리나라의 어음교환소는 1910년 7월 서울에 설립된 사설 경성 어음교환소(현 서울어음 교환소)가 그 효시로 이후 인천, 부산, 대구, 광주, 대전 등 경제규모가 큰 대도시로 설치지역이 확대되었다. 이후에도 경제규모의 확대와 더불어 어음교환소 설치가 확대되어 2000년대에는 전국적으로 약 50여 개의 어음교환소가 운영되었다. 그러나 2010년 11월 어음교환정보를 전자적인 방식으로 교환 처리하는 전자정보교환제도(truncation)가 전국으로 확대 실시되면서 지방 어음교환소는 모두 폐쇄되었으며 현재는 서울 어음교환소에서 모든 업무를 처리하고 있다.

 

연관검색어 : 소액결제시스템, 전자어음

 

경제용어-거액결제시스템과 소액결제시스템

거액결제시스템 거액의 자금이체가 참가기관 간에 자기계산으로 또는 고객을 대신하여 이루어지는 자금이체시스템을 말한다. 거액결제시스템(large-value funds payment system)은 실제로 결제되는 지

godan.tistory.com

 

경제용어-전자어음

전자어음 실물어음이 아닌 전자적 형태로 발행된 어음으로 발행인, 수취인, 금액 등 어음 정보를 전자문서 형태로 작성하며 전자어음 관리기관(금융결제원)의 전산시스템에 등록된 약속어음이

godan.tistory.com

 

출처-한국은행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