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실업률이란?
1968년 프리드먼(M. Friedman)이 처음 제시한 개념으로, 경제의 균형 상태에서 상품시장과 노동시장 등의 구조적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 실업률을 말하며, 정부개입이 없을 때 시장구조에 의해 자연스럽게 수렴되는 실업률입니다.
자연실업률은 노동시장과 자원시장이 균형을 이룰 때 효율적이고 팽창하는 경제에서 지속되는 마찰적 실업과 구조적 실업의 조합입니다.
- 구조적 실업(산업구조의 변화, 제도에 의한 변화 시장 불균형)
- 마찰적 실업(단기적인 시장 마찰에 의한 실업)
자연실업률의 존재로 현실적으로 실업률이 0이 될 수는 없으므로, 이는 실업률 0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인플레이션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가장 낮은 수준의 실업률을 의미합니다.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의 관계는 통화론자와 케인즈학파간 오랜 논쟁거리 중의 하나로, 통화론자인 프리드먼은 예상치 못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경우 일시적으로 실업률이 하락할 수는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노동자들이 인플레이션을 인지하게 되어 임금 상승을 요구하게 됨으로써 장기적으로 인플레이션만 유발할 뿐 실업률은 자연실업률 수준으로 수렴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반면 케인즈학파 학자들은 낮은 수준의 실업률을 유지하려는 정책적 노력이 높은 수준의 물가상승률을 초래하는데 그치지 않고 물가상승률을 가속시킬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는데, 이와 관련하여 이들이 제시한 NAIRU(Non-Accelerating Inflation Rate of Unemployment; 비 가속적 인플레이션 실업률)는 인플레이션이 상승하거나 하락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실업률 수준을 지칭하는 점에서 사실상 프리드먼의 자연실업률과 같은 개념입니다.
교란(예: 투자 심리의 주기적인 이동)이 발생하면 실제 실업률이 자연 실업률에서 지속적으로 벗어나게 되며 부분적으로는 산출 결정에 대한 케인즈의 관점에서 볼 때 총수요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정책적 함의는 자연실업률이 수요관리정책(통화정책 포함)에 의해 영구적으로 감소될 수는 없으나 이러한 정책은 실제 실업의 변동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자연실업률의 감소는 그 개념에 따르면 경제의 공급측면을 지향하는 구조적 정책을 통해 달성되어야 합니다. 여러 조사에 따르면 경제학자의 3분의 2에서 3/4이 일반적으로 "경제가 장기적으로 경향이 있는 자연 실업률이 있다"는 진술에 동의하고 있습니다.
경제용어-필립스 곡선 이란?
필립스 곡선이란? 임금상승률과 실업률 사이의 반비례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을 필립스 곡선이라 한다. 뉴질랜드 출신의 영국인 경제학자 필립스(W. Phillips)는 1958년 명목 임금상승률과 실업률이
godan.tistory.com
경제용어-실업률갭이란?
실업률갭 실업률갭은 실업률과 자연실업률간의 차이 실업률갭은 노동시장의 여력(slack)을 평가 할 수 있는 유용한 지표로, 잠재GDP와 실제GDP의 차이인 GDP갭과 함께 경기수준 또는 경제 전반의 유
godan.tistory.com
출처-한국은행, 한경, 위키백과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