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침체
장기침체(secular stagnation)는 1938년 Hansen이 기술 정체와 인구증가율 둔화에 따른 투자기회의 대폭 축소로 미국 경제가 1930년대 대공황 발생 이후에도 회복되지 못하고 과소 투자 및 총수요 부족에 직면할 것으로 예측하면서 처음 사용한 용어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하버드대학의 Summers 교수가 IMF 경제포럼(2013.11) 연설에서 “선진국 경제는 2000년대 초부터 구조적 요인에 의해 장기침체에 진입하였다”라고 주장하면서 널리 회자되고 있다.
장기침체란 경제활동의 장기적 침체라는 뜻으로 대체로 실제GDP가 잠재 GDP를 하회하는 가운데 총수요가 억제되어 있거나 공급 측면에서 잠재 GDP가 정체되어 있는 상황으로 정의된다.
장기는 인구고령화 등에 따른 노동 증가율 감소, 혁신 정체, 자본투자 감소 등 공급요인에 의해 성장잠재력이 축소되는 현상과 연관이 있다.
침체는 디레버리징 등 기초경제여건의 변화, 소득불평등 심화, 재정지출 축소,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위험회피 성향의 증가 등 수요요인에 의해 성장 회복이 지연되거나 성장이 정체되는 것으로 경기순환과 관련이 있다.
장기침체란 용어 자체가 수요요인(경기순환)과 공급요인(성장잠재력)이 혼재되어 있기 때문에 장기 침체 여부와 그 원인에 대해서는 다양한 시각이 존재한다.
연관검색어 : 경기조절정책/경제안정화정책, 골디락스경제, 대안정기
경제용어-경기조절정책/경제안정화정책
경기조절 정책/경제안정화 정책 경기조절정책(business adjustment policy) 또는 경제안정화정책(stabilization policy)은 경기가 지나친 확장 또는 수축 현상을 보일 경우 이를 정상수준으로 되돌리기 위해
godan.tistory.com
경제용어-골디락스경제
골디락스 경제 골디락스 경제(Goldilocks economy)는 경기과열에 따른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에 따른 실업을 염려할 필요가 없는 최적 상태에 있는 건실한 경제를 가리킨다. 이는 영국의 전래동화인
godan.tistory.com
경제용어-대안정기
대안정기 2002년 4월 전미경제연구소(NBER;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연례 세미나에서 미국 하버드대 스톡(J. Stock) 교수와 프린스턴대 왓슨(M. Watson) 교수가 주요국의 경기순환이 달라졌음을 설..
godan.tistory.com
출처 : 한국은행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