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저축률/총저축/평균소비성향/평균저축성향
국민처분가능소득(NDI; National Disposable Income)은 한 나라 경제 전체가 소비나 저축으로 자유로이 처분할 수 있는 소득으로 거주자와 비거주자간의 소득이전이 반영된 것입니다.
▪국민처분가능소득 = 국민순소득* + 국외순수취경상이전
*국외순수취 영업이익 및 재산소득이 반영된 피용자보수 및 영업이익 + 순생산 및 수입세
국민총처분가능소득 중 소비되지 않고 남는 부분을 총저축 혹은 국민 저축이라 하는데, 저축률은 100에서 국민총처분가능소득 중 최종소비를 목적으로 처분된 재화와 서비스의 비율인 소비율을 차감한 것입니다.
이때 소비율을 백분율이 아닌 계수로 표시한 것을 평균소비성향이라 하며, 평균저축성향은 1에서 평균소비성향을 차감한 것입니다.
▪저축률 = 100 – 소비율*
* 최종소비지출/국민총처분가능소득** × 100
** 피용자보수 + 영업이익(국외순수취영업이익 및 재산소득 포함) + 순생산 및 수입세 + 국외순수취 경상이전 + 고정자본소모)
▪평균소비성향 = 최종소비지출/국민총처분가능소득
▪평균저축성향 = 1 - 평균소비성향
총저축은 국민총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하고 남은 부분이다. 총저축은 투자재원으로 차기 생산을 증가시키는데 이용되거나 대외자산구입에 이용되므로 이론적으로는 국내 투자에 국외투자를 더한 총투자와 일치한다.
▪총저축 = 국민총처분가능소득 – 소비
연관검색어 : 국민계정체계(SNA)
경제용어-국민계정체계(SNA)
국민계정체계(SNA) 국민계정은 국민경제의 순환과 변동을 체계적으로 기록한 사회회계로서 경제활동을 거래형태별 및 거래에 참가하는 경제주체별로 파악하여 복식부기 방식으로 기록한 것입
godan.tistory.com
출처-한국은행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