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용어

경제용어-총산출(gross output)

by 성장하는 고단이 2022. 6. 7.
반응형

총산출(gross output)이란

개념적으로 생산된 재화와 용역의 화폐 평가액을 총합한 것으로 재고품과 자가소비를 포함한다. 그러나 국민계정에서는 생산주체별로 비용구조와 산출물 형태가 같지 않으므로 총산출의 개념도 산업, 정부 및 가계에 봉사하는 비영리 단체, 가사서비스 등 생산주체별로 다르다.

 

산업의 총산출은 일반적으로 일정 회계기간에 생산된 모든 재화와 용역의 시장 가격을 의미하는데 재고품과 자가소비를 위한 생산도 포함하며 이의 평가는 생산자 가격에 의해서 행해지거나 생산자 가격에서 연관된 순상품세를 공제한 기초 가격에 의하여 평가된다.

 

거래가격이 존재하는 재화의 총산출은 생산량과 거래 가격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으며 서비스업의 경우 요금이나 수수료 등 제공한 서비스의 대가로 받은 수입을 총산출로 계상한다.

 

다만 도소매업과 같은 유통업이나 수량화가 곤란한 서비스를 판매하는 금융업 등은 총산출에 대한 별도의 정의가 필요하다.

 

도소매업의 경우 판매금액과 매입금액의 차액인 거래마진, 금융업은 실제 서비스 수수료와 금융중개서비스, 보험업은 수취한 보험료와 보험 준비금의 투자수익을 합한 금액에서 보험금 지급액과 지급준비금 추가 적립액 등을 차감한 보험 서비스료를 의제하여 총산출로 간주한다.

 

정부 및 가계에 봉사하는 비영리단체가 공급하는 서비스는 보통 시장에서 거래되는 것이 아니므로 시장가격으로 평가하기 곤란하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서비스의 생산에 들어간 중간투입과 부가가치를 합한 총 투입비용을 총산출로 계상한다. 또한 가사서비스업은 생산을 위해 투입되는 것이 노동뿐이므로 서비스 제공의 대가로 수취한 급여(피용자보수)를 총산출로 본다.

 

연관검색어 : 부가가치

 

경제용어-부가가치

부가가치(value added) 일정 기간 동안에 경제활동주체가 생산활동에 참여하여 새로 이 창출한 가치를 말하는데, 총산출에서 중간투입(소비)을 차감하여 구할 수 있다. 부가가치 = 총산출 - 중간투

godan.tistory.com

출처 : 한국은행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