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용어

경제용어-피셔효과란?

by 성장하는 고단이 2022. 5. 20.
반응형

피셔 효과

1920년대 미국의 경제학자 어빙 피셔(Irving Fisher)가 발표한 이론으로, 피셔 방정식 (fisher equation)은 명목금리가 실질금리와 기대인플레이션의 합계와 같다고 표현한다.

 

시중의 명목금리가 상승했다면 그것은 실질금리의 상승이 원인일 수도 있고, 기대인플레이션의 상승이 원인일 수도 있는 것이다.

 

피셔효과(fisher effect)가 통화정책에서 나타나는 사례를 살펴보자. 중앙은행이 정책금리를 인상하면 즉각적으로 시중의 명목금리가 상승하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오히려 명목금리가 하락할 수 있다. 이는 중앙은행이 통화 긴축을 실시할 경우 물가안정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져 기대인플레이션이 낮아지면서 명목금리가 하락하게 되기 때문이다.

 

한편, 국제피셔효과(international fisher effect)는 자본의 국제적 이동이 자유롭다(즉, 국가 간의 실질금리는 동일하다)는 가정 하에 양국 간 명목금리의 차이는 양국 통화간 기대되는 환율 변동과 같아진다는 이론이다.

국제 피셔 효과는 피셔 방정식과 구매력 평가설을 함께 적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완전한 자본이동성이 성립(양국 간 실질금리는 동일)할 경우, 피셔 방정식에 의하면 양국 간 명목금리 차이는 양국 간 기대인플레이션 차이와 같아진다. 여기에 구매력 평가설(purchasing power parity)이 성립한다고 가정하자. 즉, 동일한 물품은 어떤 국가에서도 같은 가격에 구입한다는 일물일가(一物一價)의 법칙이 성립한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자국의 물가 수준은 외국의 물가 수준에 양국 간 환율을 곱한 값이 된다. 이 관계를 시간에 대해 미분하여 상대적 변화율을 구하면, 양국 간 기대인플레이션의 차이는 양국 간 기대되는 환율 변동과 같게 된다. 따라서 피셔 방정식과 구매력 평가설이 동시에 성립한다면, 양국 간 명목금리의 차이는 양국 간 기대되는 환율 변동과 같다.

 

 

연관검색어 : 기대인플레이션

 

경제용어-인플레이션/기대인플레이션/근원인플레이션율

인플레이션 물가 수준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을 인플레이션이라고 한다. 여기서 물가는 개별 상품의 가격을 평균하여 산출한 물가지수를 의미한다. 인플레이션은 물가상승 지속기간 및

godan.tistory.com

 

출처 : 한국은행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