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립스 곡선이란?
임금상승률과 실업률 사이의 반비례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을 필립스 곡선이라 한다.
뉴질랜드 출신의 영국인 경제학자 필립스(W. Phillips)는 1958년 명목 임금상승률과 실업률이 역의 상관관계를 나타낸다는 것을 처음으로 관찰하였습니다.
즉 필립스는 1861년에서 1957년 사이의 영국의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실업률이 낮은 해에는 명목 임금상승률이 높고, 반대로 실업률이 높은 해에는 명목 임금상승률이 낮다는 사실을 발견하였습니다.
일반적으로 명목 임금상승률과 물가상승률은 비슷한 움직임을 보이기 때문에 물가상승률과 실업률 간의 안정적인 반비례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을 필립스 곡선이라 부릅니다.
이러한 필립스 곡선은 단순히 경험적 관계로부터 도출되었지만, 완전고용을 이루면(실업률이 낮으면) 물가상승률이 높아지고(물가 불안정), 완전고용에서 멀어지면(실업률이 높으면) 물가상승률이 낮아지는(물가안정) 완전고용과 물가안정 사이의 상충관계를 밝힘으로써 경제정책 분석에 크게 기여하였습니다.
필립스 곡선의 한계
실업률과 인플레이션 사이에는 단기적으로는 상충관계가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1967년과 1968년에 Friedman과 Phelps는 필립스 곡선이 단기에만 적용되며 장기적으로는 인플레이션 정책이 실업률을 감소시키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장기 필립스 곡선은 이제 인플레이션율이 실업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자연실업률에서 수직선으로 간주됩니다. 2010년대 필립스 곡선의 기울기가 감소한 것으로 보이며 인플레이션 예측에 필립스 곡선의 유용성에 대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2022년 연구에 따르면 1980년대 초반에도 필립스 곡선의 기울기가 작았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필립스 곡선은 중앙 은행에서 사용되는 인플레이션을 이해하고 예측하기 위한 기본 프레임워크로 남아 있습니다.
경제용어-실업률갭이란?
실업률갭 실업률갭은 실업률과 자연실업률간의 차이 실업률갭은 노동시장의 여력(slack)을 평가 할 수 있는 유용한 지표로, 잠재GDP와 실제GDP의 차이인 GDP갭과 함께 경기수준 또는 경제 전반의 유
godan.tistory.com
경제용어-자연실업률
자연실업률이란? 1968년 프리드먼(M. Friedman)이 처음 제시한 개념으로, 경제의 균형 상태에서 상품시장과 노동시장 등의 구조적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 실업률을 말하며, 정부개입이 없을 때 시장
godan.tistory.com
출처-한국은행, 위키백과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