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용어

경제용어-한은금융망(BOK-Wire+)

by 성장하는 고단이 2022. 5. 11.
반응형

한은금융망(BOK-Wire+)

한국은행이 금융기관간 자금결제를 위하여 1994년 12월부터 가동 운영하고 있는 거액결제시스템으로 금융기관의 콜거래, 외환 및 증권매매 등에 따른 원화자금 결제는 대부분 한은금융망을 이용하여 한국은행에 개설된 당좌예금을 계좌 이체하는 방식으로 처리한다.

 

한은금융망은 금융기관 간 원화자금 이체 이외에 한국은행 대출금 지원 및 상환, 국고금 수납 등 한국은행과 금융기관 간 자금결제를 처리하고 어음교환시스템, 지로 시스템 등 소액결제시스템의 은행간 채권・채무 결제에도 이용된다.

 

한은금융망은 실시간 총액결제방식에 양자 간 및 다자간 동시결제(차액결제) 방식을 추가한 혼합형결제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어 결제 과정에서 신용리스크를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일중 결제유동성도 절약할 수 있다.

 

이밖에 결제유동성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대기관리제도, 일중당좌대출제도 및 일중 RP제도, 반일물콜거래제도 등을 운영하고 있다. 2017년 말 현재 19개 국내은행을 포함하여 38개 외국은행 국내지점, 72개 비은행 금융기관 등 총 129개 기관이 한은금융망에 참가하고 있다.

 

연관검색어 : 거액결제시스템, 총액결제시스템, 혼합형결제시스템

 

경제용어-혼합형결제시스템이란?

혼합형결제시스템 실시간 총액결제방식에 양자 간 및 다자간 동시결제(차액결제) 방식을 추가한 혼합형결제 방식 혼합형결제시스템(hybrid settlement system)은 지급 지시가 영업시간 중에 실시간으

godan.tistory.com

 

경제용어-총액결제시스템과 차액결제시스템

총액결제시스템 결제시스템에 참가하는 금융기관들의 지급액과 수취액을 상계시키지 않고 지급 지시 건별로 그 지급지시의 금액(총액)을 결제하는 총액결제방식을 채택한 지급결제시스템을

godan.tistory.com

 

경제용어-거액결제시스템과 소액결제시스템

거액결제시스템 거액의 자금이체가 참가기관 간에 자기계산으로 또는 고객을 대신하여 이루어지는 자금이체시스템을 말한다. 거액결제시스템(large-value funds payment system)은 실제로 결제되는 지

godan.tistory.com

 출처 : 한국은행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