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GDP갭이란 무엇인가?
GDP갭은 실제 GDP에서 잠재 GDP를 뺀 차이
GDP갭 = 실제GDP*-잠재GDP*
*실제GDP : 각 경제활동부문에서 창출해낸 실질 부가가치의 합계, 즉 실질 국내총생산(실질 GDP)이다.
*잠재GDP : 한 나라의 생산요소인 노동과 자본을 모두 동원(완전고용)하여 달성할 수 있는 최대 수준의 GDP
(인플레이션을 가속하지 않으면서 달성 가능한 최대 GDP로 정의하기도 한다.)
GDP갭은 실제 GDP에서 잠재 GDP를 뺀 차이로 정의되므로, 수치가 양(+)이면 경제활동이 정상 수준을 넘어서 과도한 수준에서 이루어지면서 초과수요가 발생하게 되어 인플레이션이 높아진다.
반대로 GDP갭이 음(-)이면 총수요가 총공급을 밑돌게 되어 경제활동이 위축되면서 인플레이션도 낮아진다.
(참고 : GDP갭률은 GDP갭을 잠재 GDP로 나눈 백분율(%)로서 GDP갭과 같은 개념이다.)
연관검색어 : 실업률갭
경제용어-실업률갭이란?
실업률갭 실업률갭은 실업률과 자연실업률간의 차이 실업률갭은 노동시장의 여력(slack)을 평가 할 수 있는 유용한 지표로, 잠재GDP와 실제GDP의 차이인 GDP갭과 함께 경기수준 또는 경제 전반의 유
godan.tistory.com
출처-한국은행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