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즐길거리/여행거리

2022년 여름방학 온라인캠프교육 토양·지하수 어린이 여름캠프 신청안내

by 성장하는 고단이 2022. 7. 3.
반응형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7월 4일부터 13일까지 토양·지하수 어린이 여름캠프’ 참가자를 모집합니다. 캠프 일정은 7월 28일과 29일 양일간 온라인 시스템 상에서 하루 일정으로 오전 10시부터 오후 3시까지 진행되며, 참가자들은 화상회의 프로그램인 (Zoom)과 유튜브(Youtube) 생중계’ 두가지 방식 중 한가지와 28일 및 29일 중 하루를 선택해 참여할 수 있습니다.


2022년 토양·지하수 어린이 여름캠프 "토박사와 수박사의 실험실 이야기"

참가대상

초등학교 46학년

 

신청방법

- 참가신청서를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토양환경센터 누리집(www.sec.re.kr)에 제출

- 추첨으로 참가자를 선발 (500명)

※ 온라인 참가신청자 중 총 500명을 무작위 추첨을 통해 선발하고,  선발결과는 7.15()한국환경산업기술원 토양환경센터 홈페이지(www.sec.re.kr)에서 확인 가능함

 

http://www.sec.re.kr

 

http://www.sec.re.kr

 

www.sec.re.kr

 

신청기한

2022년 7월 4일~7월 13일까지

 

행사일시

2022년 7월 28일(목)~7월 29일(금)

 

참가방법

(Zoom)또는 유튜브*(Youtube) 중 택 1

 * 참가 방식(줌 200명 또는 유튜브 300및 희망 날짜는 참가신청서 제출 시 선택해 기재 

 유튜브는 누구든지 볼수 있으나선발된 학생에게만 교재와 실험재료와 도구를 제공하고우수참가자에게는 포상 부여

줌(Zoom)과 유튜브(Youtube) 차이점

- 교육내용, 교재 및 실험키트 제공은 모두 동일하며, 참여학생의 여건에 따라 줌(200명)과 유튜브(300명) 중 참여가 용이한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음
 
- 줌(Zoom) 참가의 경우, 웹카메라와 마이크 기능이 있는 컴퓨터(또는 장비)가 필요하며, 교수님과 학생이 사이버 공간에서 서로 마주 보고수업 진행과 질문이 가능하여 친밀하게 소통할 수 있음
 
 - 유튜브(Youtube) 참가의 경우, 웹카메라와 마이크 기능이 필요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장소의 구애없이 참여가 가능함. 궁금한 점은 채팅창을 통해 질문하고, 과학전담 보조교사를 통해 답변할 예정임

 

참가비

전액 무료

 

프로그램

토양·지하수의 특성과 기능생성과정에 대한 이론과 체험

 

- 프로그램은 토양 및 지하수의 생성원리그 기능과 활용 등 특성과 오염의 원인과 피해 등에 대해 알아봄

 

- 사전에 제공받은 교육용 교재와 실험도구를 활용하여 이론학습과 함께 실험을 통한 토양특성과 정화능력오염도 확인 및 지하수의 생성 및 오염물질 확산과정을 눈으로 관찰함

 

- 아울러선발된 참가자 뿐 아니라 관심있는 사람은 누구나 유튜브를 통해 캠프내용을 볼 수 있음

시간 내 용
10:0012:00 (120) 1부 – 토양
· (이론)토양의 생성과정과 중요성 알아보기
· (실험)토양의 생성과정특성정화 능력
· (실험)토양 산성실험을 통한 오염도 확인
 
12:0013:00 (60) 점심시간
13:0015:00 (120) 2부 - 지하수
· (이론) 지하수의 생성과정과 중요성 알아보기
· (실험) 지하수의 형성과 오염물질의 확산 실험
· (견학) 강원도에서 보는 토양과 지하수 속 과학이야기
  백룡동굴화암약수함백탄광수질정화시설 등
 

 

우수 참가자 시상

세계 토양의 날 기념식(22.12.5.)에서 수여

 

- 프로그램 이수 후에 참가자에게 과제를 제시하고, 제출된 과제는  교육전문가(참여교수진, 초등교사 등)로 구성된 평가위원들이 별도의 평가 절차를 거쳐 우수한 학생을 선발

 

- 과제로는 캠프 참가후기, 우리고장 토양조사 및 관찰일지 작성등을 제시할 예정이며, 캠프목적과 학습내용의 이해도, 과제의  충실성, 완성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예정임

 

- 우수 참가자는 개별적으로 통보하고,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토양환경센터 홈페이지(www.sec.re.kr)를 통해 공지할 예정임

구 분 훈 격 부 상 인 원
최우수상 환경부장관상 30만원 3명(학년별 1명)
우수상 한국환경산업기술원장상 10만원 9명(학년별 3명)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