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 2022년 5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및 경제심리지수(ESI)가 발표되었는데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기업경기실사지수(BSI)
기업경기조사의 목적은 기업경기 동향 파악 및 다음 달 전망을 위해 기업가의 현재 기업경영상황에 대한 판단과 향후 전망을 조사하여 지수화하는 것입니다. (매월 전국 3,255개 법인기업을 대상)
BSI는 0~200의 값을 가지는데 100을 넘어서면 긍정적으로 응답한 업체수가 부정적으로 응답한 업체수보다 많음을 나타내며, 100 미만인 경우는 그 반대를 나타낸다.
2022년 5월 조사 종합
- 제조업 5월 업황BSI는 86으로 전월에 비해 1p 하락하였으며, 다음달 업황전망BSI(87)도 전월에 비해 1p 하락
- 비제조업 5월 업황BSI는 86으로 전월에 비해 1p 상승하였으며, 다음달 업황전망 BSI(86)도 전월에 비해 1p 상승
2022년 5월 조사 상세
1. 제조업
- (업황BSI) 5월 중 업황 BSI는 86으로 전월에 비해 1p 하락하였으며, 다음 달 전망지수(87)도 전월에 비해 1p 하락
*기업규모별로 대기업은 전월과 동일한 반면 중소기업(-3p)은 하락하였으며, 기업형태별로 수출기업(+4p)은 상승한 반면 내수기업(-5p)은 하락
- (매출 BSI) 5월 중 실적은 105로 전월에 비해 1p 하락하였으며, 다음 달 전망(105)도 전월에 비해 2p 하락
- (채산성 BSI) 5월 중 실적은 79로 전월과 동일하였으며, 다음 달 전망(78)은 전월에 비해 1p 하락
- (자금사정 BSI) 5월 중 실적은 85로 전월과 동일하였으며, 다음 달 전망(85)은 전월에 비해 1p 상승
- (경영애로사항) 원자재 가격상승의 비중이 가장 높고, 불확실한 경제상황과 인력난·인건비 상승이 그 뒤를 이음
*인력난·인건비 상승 비중은 전월에 비해 상승(+1.5% p)한 반면, 원자재 가격 상승 비중은 하락(-0.9% p)

2. 비제조업
- (업황 BSI) 5월 중 업황 BSI는 86으로 전월에 비해 1p 상승하였으며, 다음 달 전망지수(86)도 전월에 비해 1p 상승
- (매출 BSI) 5월 중 실적은 98로 전월에 비해 3p 상승하였으며, 다음 달 전망(98)도 전월에 비해 4p 상승
- (채산성 BSI) 5월 중 실적은 88로 전월에 비해 1p 하락하였으며, 다음 달 전망(89)도 전월에 비해 1p 하락
- (자금사정 BSI) 5월 중 실적은 89로 전월과 동일하였으며, 다음 달 전망(89)도 전월과 동일

경제심리지수(ESI)
경제심리지수(ESI)의 목적은 기업과 소비자 등 모든 민간 경제주체의 경제상황에 대한 심리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BSI와 CSI를 합성한 경제심리지수(ESI : Economic Sentiment Index)를 작성합니다.
ESI는 장기 평균 100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분포하기 때문에 ESI가 100을 상회(하회)하게 되면 기업과 가계 등 모든 민간 경제주체의 경제심리가 과거 평균보다 나아진(나빠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음
2022년 5월 조사 내용
- 기업경기실사지수(BSI)와 소비자동향지수(CSI)를 합성한 5월 경제심리지수(ESI)는 106.7로 전월에 비해 1.0p 상승

출처-한국은행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