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용어

경제용어-경상수지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본원소득수지, 이전소득수지)

by 성장하는 고단이 2022. 4. 2.
반응형

경상수지

재화나 서비스를 외국과 사고파는 거래 즉 경상거래의 결과로 나타나는 수지를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경상수지는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본원소득수지 및 이전소득수지로 구성되며 이 항목들은 금융계정 구성항목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성격을 지닌 거래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경제발전 및 정책 변화의 효과를 측정하거나 전망하는 데 널리 이용됩니다.

 

경상수지의 4가지 항목

  • 상품수지
  • 서비스수지
  • 본원소득수지
  • 이전소득수지

상품수지

거주자와 비거주자 간의 상품 수출입 거래를 계상(계산하여 올림)한 것으로, 경상수지의 한 부분입니다. 수출이 수입보다 많으면 흑자, 수출보다 수입이 많으면 적자로 표시합니다.

상품수지의 수출입은 관세청에서 통관기준으로 작성하는 무역수지의 수출입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관세청에서는 상품이 우리나라의 관세선을 통과하면 수출입으로 계상하는 반면, 국제수지의 상품수지에서는 상품의 소유권이 이전되어야 수출입으로 간주하는 소유권 이전(change of ownership) 기준을 따르기 때문인데요. 또한 무역수지에서 수출은 FOB가격, 수입은 운임 및 보험이 포함되어 있는 CIF 가격으로 평가하지만, 상품수지에서 는 수출과 수입 모두 FOB가격으로 평가한다는 차이점도 있습니다.

 

서비스수지

국제수지표에서 서비스수지란 외국과의 서비스거래 결과 벌어들인 돈과 지급한 돈의 차이를 말합니다. 서비스거래는 가공, 운송, 여행, 건설, 보험, 금융, 통신, 지식재산권, 유지보 수, 정부 서비스, 기타 사업서비스 등의 항목으로 이루어지는데, 서비스수지는 거래 항목별로 수입과 지급으로 나누어 계상(계산하여 올림)합니다.

ex) 우리나라의 선박이나 항공기가 상품을 나르고 외국으로부터 받은 운임, 외국관광객이 쓰고 간 외화, 무역대리점의 수출입 알선 수수료 수입 등이 서비스 수입으로 기록됩니다. 반대로 우리나라가 외국에 지급한 선박과 항공기의 운항경비, 해외여행 경비, 기술용역 대가 등은 모두 서비스 지급으로 나타냅니다.

 

본원소득수지

본원소득수지는 급료 및 임금과 투자소득으로 구분된다.

  • 급료 및 임금 : 외국인 근로자 에게 지급되거나 내국인 해외근로자가 수취하는 금액의 차이.
  • 투자소득 : 대외 금융자산과 부채의 보유에 의해 발생하는 배당금과 이자 등의 수입과 지급의 차이 (투자 형태에 따라 직접투자소득, 증권투자소득, 기타 투자소득으로 세분)

 

이전소득수지

이전소득수지는 국제수지표상 경상수지를 구성하는 항목 중의 하나로 거주자와 비거 주자 사이에 무상으로 주고받는 거래의 수지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이러한 거래에는 재외교포가 국내 친지에게 보내는 개인송금, 국외 자선단체의 기부금이나 구호물자, 국제기구 출연금 등이 포함됩니다. 

 

 

#연관검색어 : 국제수지, 국제수지표 

 

경제용어-국제수지(BOP)와 국제수지표

국제수지(BOP) 일정기간 동안 한 나라의 거주자와 비거주자 간에 발생한 경제적 거래에 따른 수입과 지급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국제수지(BOP; Balance Of Payments)는 크게 4개의 계정으로 구성되어 있

godan.tistory.com


경상수지 통계는 어디서 확인할 수 있을까요?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사이트에서 경상수지를 검색하시면 다양한 통계자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클릭 시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사이트 이동)

 

 

 

출처-한국은행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