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용어

경제용어-국제수지(BOP)와 국제수지표

by 성장하는 고단이 2022. 4. 2.
반응형

국제수지(BOP)

일정기간 동안 한 나라의 거주자와 비거주자 간에 발생한 경제적 거래에 따른 수입과 지급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국제수지(BOP; Balance Of Payments)는 크게 4개의 계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경상수지
  •  자본수지
  •  금융계정
  •  오차 및 누락 

경상수지 (클릭 시 관련 글 이동)

  ① 상품수지 : 상품 수출입의 결과

  ② 서비스수지 : 운송, 여행, 건설 등 서비스 거래의 결과

  ③ 본원소득수지 : 급료 및 임금수지, 투자소득수지 등

  ④ 이전소득 수지 : 무상원조, 증여성 송금 등의 결과

 

자본수지

 자본수지는 자산 소유권의 무상이전 등 자본이전과 브랜드 네임 등 비생산・비금융자산의 취득 및 처분의  결과로 계상(계산하여 올림)됩니다.

 

금융계정

 금융계정은 직접투자, 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 기타투자 및 준비자산으로 구분됩니다.

 

오차 및 누락

 오차 및 누락은 경상수지 및 자본수지 국제수지(BOP)의 합계와 금융계정 금액이 같지 않을 경우 이를 조정하기 위한 항목으로 국제수지 작성에 이용되는 기초 통계간 계상 시점, 평가방법상의 차이 등에 기인합니다.


국제수지표

일정기간 동안 한 나라의 거주자와 비거주자 간에 발생한 경제적 거래를 국제기준에 따라 체계적으로 기록한 표를 국제수지표라고 합니다.

일정기간 동안은 국제수지표가 어느 한 시점에서의 대차상황을 기록한 잔액(stock) 통계가 아니라 일정기간 중에 발생한 거래를 집계한 플로(flow) 통계임을 의미합니다.

 

거주자와 비거주자의 구분

경제주체가 어디에 살고 있으며 국적이 어디인지하는 지리적 영역이나 법률상의 국적보다는 경제활동에 있어 주된 경제적 이익의 중심이 어디에 있느냐를 기준으로 합니다.

 

거래유형

모든 경제적 거래를 대상으로 하는데 상품, 서비스, 소득, 자본 및 금융거래뿐만 아니라 대외 원조 등 대가 없이 이루어지는 이전 거래도 포함한다. 우리나라는 한국은행에서 국제수지표를 매월 작성하여 공표하고 있습니다.

 

 

연관검색어 : 경상수지

 

경제용어-경상수지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본원소득수지, 이전소득수지)

경상수지 재화나 서비스를 외국과 사고파는 거래 즉 경상거래의 결과로 나타나는 수지를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경상수지는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본원소득수지 및 이전소득수지로 구성되며

godan.tistory.com

 

출처-한국은행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