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용어

경제용어-익스포저란?

by 성장하는 고단이 2022. 5. 12.
반응형

익스포저

리스크에 노출되어 있는 금액을 의미합니다.

 

리스크 유형에 따른 구분

  • 시장리스크 익스포저 : 금리, 환율, 주가 등의 변동에 따른 가치 변동에 따른 손실 가능성에 노출된 금액
  • 신용리스크 익스포저 : 거래상대방의 신용도 하락, 채무불이행에 따른 경제적 손실 가능성에 노출된 금액

익스포저와 위험가중자산과 차이

익스포저(exposure)는 장부가액보다 포괄적인 개념이며 발생 가능한 손실 가능액을 측정하지만 발생 가능성(위험가중치)으로 조정하지 않은 중립적인 금액이라는 점에서 위험가중자산과 차이가 있다.

 

난내(on-balance sheet) 자산은 일반적으로 재무상태표상 금액이 통상 익스포저와 동일하나 난외(off-balance sheet) 항목은 현재 시점에서 관련 권리・의무가 확정되지 않아 계약의 명목가액을 익스포저로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난외항목의 경우 해당 계약의 명목금액에 해당 유형별로 난내자산으로 전환될 확률에 해당하는 신용환산율(CCF; Credit Conversion Factor)을 곱하여 산출한 신용등가액(credit equivalent amount)을 익스포저로 한다.

 

연관검색어 : 레버리지비율

 

경제용어-레버리지비율이란?

레버리지비율 레버리지비율은 ‘기본자본(Tier 1) / 총익스포저(난외자산 포함) × 100’으로 정의된다. 분자의 자본은 바젤Ⅲ 기준 기본자본(Tier 1)을 사용하며 분모의 총익스포저는 위험가중 자산

godan.tistory.com

 

출처 : 한국은행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