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용어

경제용어-지역금융협정

by 성장하는 고단이 2022. 6. 7.
반응형

지역금융협정

인접국가나 특정 경제권역 내 국가 간에 체결하는 금융협력협정을 말한다.

 

1970년대부터 시작된 지역금융협정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그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었다. 이는 경제구조가 유사한 인접국 간에 금융불안이 쉽게 전염되는 역사적 경험, 역내 국가 간에는 경제상황 및 정책 시행에 대한 상호 간의 이해가 높고 이에 따라 잠재적 위험 감지 및 위기 해결을 위한 공동대응이 용이한 점 등에서 지역금융협정이 금융안전망으로 유용함을 새삼 인식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글로벌금융안전망의 확충이 각국 간의 이해 차이로 어려운 반면 지역금융협정이나 지역금융안전망은 상대적으로 당사국의 이해를 통합하기 쉬워 설립 또는 체결이 용이한 장점이 부각된 영향도 있다.

 

대표적인 지역금융 협정에는 아시아지역의 치앙마이 이니셔티브 다자화 협정(CMIM; Chiang Mai Initiative Multilateralization), 유럽의 금융안정 메커니즘(ESM; European Stability Mechanism), 중남미 지역 준비기금(FLAR; Fondo Latino Americano de Reservas), 중동지역의 아랍 통화기금(AMF; Arab Monetary Fund), 최근 브릭스 국가들이 설립한 긴급 외환보유액 협정 (CRA; Contingent Reserve Agreement) 등이 있다.

 

 

연관검색어 : 국제통화기금(IMF), 치앙마이 이니셔티브(CMI), 글로벌금융안전망

 

경제용어-국제통화기금(IMF)

국제통화기금(IMF) 국제통화 및 금융제도의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국제금융기구로서 미국 워싱턴에 본부를 두고 1945년 12월 설립되었다. 설립목적 국제통화문제에 관한 협력, 국제무역의 확대와

godan.tistory.com

 

경제용어-치앙마이 이니셔티브(CMI)

치앙마이 이니셔티브(CMI) 1999년 3월 ASEAN+3 정상회의에서 협력과제의 하나로 통화・금융협력을 제시하고 역내 금융지원체제를 구축하기로 합의함에 따라 2000년 5월 태국 치앙마이에서 개최된 ASEA

godan.tistory.com

 

경제용어-글로벌금융안전망

글로벌 금융안전망 금융위기 등으로 인하여 외화유동성이 부족해지는 경우에 대비하기 위하여 각국이 외화유동성을 인출하거나 지원받는 각종 제도적 장치들을 총칭하여 글로벌금융안전망이

godan.tistory.com

 

출처 : 한국은행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