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액결제시스템
결제시스템에 참가하는 금융기관들의 지급액과 수취액을 상계시키지 않고 지급 지시 건별로 그 지급지시의 금액(총액)을 결제하는 총액결제방식을 채택한 지급결제시스템을 말한다.
대체로 총액결제시스템(gross settlement system)은 지급 지시가 실시간으로 처리되어 즉시 결제가 이루어지는 방식을 채택하기 때문에 실시간총액결제 시스템(real time gross settlement system)으로 운영된다.
총액결제시스템의 장단점
실시간총액결제시스템은 거래 건별 금액을 실시간으로 결제해야 하므로 시스템 참가기관은 결제자금을 충분히 보유해 야 한다는 단점이 있으나 개별 지급지시별로 즉시 결제가 완료되므로 신용리스크 및 시스템 리스크를 제거할 수 있다.
보통 실시간총액결제시스템에서는 참가기관의 결제자금 지원을 위해 일중 당좌대출이나 일중 RP 등의 결제유동성 지원제도를 운영한다. 우리나라의 실시간 총액결제시스템으로는 금융기관 간 자금결제를 위해 한국은행에서 운영하는 한은 금융망(BOK-Wire+)이 있다.
연관검색어 : 한은금융망(BOK-Wire+)
경제용어-한은금융망(BOK-Wire+)
한은금융망(BOK-Wire+) 한국은행이 금융기관간 자금결제를 위하여 1994년 12월부터 가동 운영하고 있는 거액결제시스템으로 금융기관의 콜거래, 외환 및 증권매매 등에 따른 원화자금 결제는 대부
godan.tistory.com
차액결제시스템
금융기관들의 상호 지급액과 수취액을 상계하여 차액만을 결제하는 차액결제시스템을 말한다.
결제시스템에 참가하는 금융기관 간 자금결제에서 일정 기간(보통 1일) 동안 발생한 거래의 상호 지급액과 수취액을 모두 상계 처리한 다음 그 차액만을 결제하는 시스템
차액결제시스템의 구분
- 양자 간 차액결제시스템
- 다자간 차액결제시스템 : 어음교환, CD, 타행환 시스템 등과 같이 다수의 금융기관 간에 이루어지는 거래
차액결제시스템의 장점
차액결제시스템은 참가기관 간 자금 거래를 매 건별로 결제하는 총액결제에 비해 결제 건수 및 금액을 대폭 축소함으로써 참가기관의 자금부담과 결제비용을 경감시키고 결제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기 때문에 결제건수가 많고 결제규모가 작은 소액결제시스템에 매우 적합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차액결제시스템의 단점
차액결제시스템에서는 거래일 영업 마감 후 또는 그다음 영업일에 참가기관 간 거래 차액이 중앙은행의 당좌예금 계좌를 통해 최종적으로 결제될 때까지 참가기관의 결제불이행 위험에 노출되어 있어 보다 엄격한 리스크 관리방식이 요구된다.
경제용어-지정시점처리제도
지정시점처리제도 실시간 총액결제시스템에서 금융기관의 자금이체는 신청 즉시 처리되는 것이 원칙이나 어음교환, 타행환 등의 차액결제와 같이 거래 성격상 다수 금융기관 간에 일괄 결제가
godan.tistory.com
경제용어-거액결제시스템과 소액결제시스템
거액결제시스템 거액의 자금이체가 참가기관 간에 자기계산으로 또는 고객을 대신하여 이루어지는 자금이체시스템을 말한다. 거액결제시스템(large-value funds payment system)은 실제로 결제되는 지
godan.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