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공급물가지수
생산자물가지수의 국내 출하품뿐만 아니라 수출입물가지수의 수입품을 모두 포함하여 가공정도에 따라 원재료, 중간재 및 최종재로 구분하여 지수를 편제함으로써 물가 파급과정을 단계별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지수로 기존에 작성했던 가공단계별물가지수(stage-of-processing index)를 서비스 부문까지 확장한 것이다.
생산자물가지수는 기업 간의 중간거래액을 포함한 국내 출하액을 모집단으로 채택하여 조사대상 품목을 선정하고 가중치를 결정하기 때문에 원재료, 중간재 및 최종재에 해당되는 모든 품목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국내공급물가지수는 이러한 조사 대상품목을 각각의 가공단계에 따라 분리하여 원재료 지수, 중간재 지수 및 최종재 지수로 나누어 작성한다.
따라서 생산자물가지수에서는 원재료, 중간재, 최종재가 구분 없이 혼재되어 있는 반면, 국내공급물가지수에서는 가공단계별로 가격 변동이 중복 계산될 여지가 줄어든다. 특히 소비자물가지수와 포괄범위가 일치하는 최종소비재지수를 이용하여 소비자 물가의 변동요인을 수입품과 국산품으로 구분하여 분석이 가능하고 자본재 지수는 기업의 투자여건 분석에 활용 가능하다.
연관검색어 : 생산자물가지수(PPI), 수출입물가지수
경제용어-수출입물가지수/수출입물량지수
수출입물가지수 수출입 물가지수는 수출 및 수입상품의 가격 변동을 측정하는 지표 수출입물가지수의 활용 대외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의 경우 수출입 상품의 가격 변동이 국내 물가, 생산활
godan.tistory.com
경제용어-생산자물가지수(PPI)
생산자물가지수(PPI) 국내 시장의 제1차 거래단계에서 기업 상호 간에 거래되는 상품과 서비스의 평균적인 가격 변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작성되는 물가지수로서 그 대상품목의 포괄범위가 넓어
godan.tistory.com
출처 : 한국은행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