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소식

2022년 3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및 경제심리지수 (발표일 3월 31일)

by 성장하는 고단이 2022. 3. 31.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금일 발표된 2022년 3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및 경제심리지수(ESI)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먼저, 기업경기실사지수에 대해 알아볼까요?

매월 기업경기 동향 파악 및 다음 달 전망을 위해 기업가의 현재 기업경영상황에 대한 판단과 향후 전망을 조사하여 지수화하는 목적으로, 전국 3255개 법인기업을 조사대상으로 약 일주일 동안 조사합니다.

 

기업경기실사지수(BSI : Business Survey Index) 산출은 한국표준산업분류(KSIC-10)에 기반하여 제조업은 23개 중분류, 비제조업은 13개 대분류 업종으로 나누어 아래 계산식에 따라 산출합니다. (아래표 참조)


다음은 경제심리지수(ESI)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경제심리지수는 기업과 소비자 등 모든 민간 경제주체의 경제상황에 대한 심리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BSI와 CSI를 합성한 경제심리지수(ESI : Economic Sentiment Index)를 작성합니다.

경제심리지수(ESI) = BSI와 CSI를 합성하여 작성

** ESI는 BSI 및 CSI(각각 32개 및 17개) 중 경기 대응성이 높은 7개 항목을 선정하여 가중평균한 다음 장기평균이 100, 표준편차가 10이 되도록 표준화하여 산출합니다.

(장기평균(100)은 표준화 가능 구간, 즉 BSI와 CSI 시계열 확보가 가능한 2003.1월부터 2021.12월 기간까지의 ESI 평균을 의미)

** ESI 순환변동치는 경제심리의 순환적 흐름을 파악하기 위하여 ESI 원계열에서 계절성 및 불규칙 변동치를 제거하여 산출합니다.

 

ESI는 장기평균 100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분포하기 때문에 ESI가 100을 상회(하회)하게 되면 기업과 가계 등 모든 민간 경제주체의 경제심리가 과거 평균보다 나아진(나빠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2022년 3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및 경제심리지수(ESI)

 

1.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제조업 3월 업황BSI는 84로 전월에 비해 7p 하락하였으며, 다음달업황전망BSI(85)도 전월에 비해 8p 하락하였습니다.

비제조업 3월 업황BSI는 81로 전월과 동일하였으나, 다음달 업황전망BSI(82)는 전월에 비해 2p 하락하였습니다.

 

경영 애로사항을 살펴보면 제조업은 원자재 가격상승의 비중이 가장 높고, 불확실한 경제상황과 내수부진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원자재 가격상승 비중은 전월에 비해 상승(+5.6%p)한 반면, 인력난·인건비상승 비중은 하락(-1.8%p)

 

비제조업은 불확실한 경제상황의 비중이 가장 높고, 원자재 가격상승과 인력난·인건비상승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원자재 가격상승 비중은 전월에 비해 상승(+3.3%p)한 반면, 자금부족 비중은 하락(-1.8%p)

 

2. 경제심리지수(ESI)

기업경기실사지수(BSI)와 소비자동향지수(CSI)를 합성한 3월 경제심리지수(ESI)는 103.4로 전월에 비해 2.3p 하락하였습니다.

경제심리 지수도 나빠진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2022년 3월 경제심리 추이 (출처-한국은행)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