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용어

경제용어-투자은행

by 성장하는 고단이 2022. 6. 6.
반응형

투자은행(investment bank)이란

상업은행(commercial bank)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상업은행이 예금을 바탕으로 기업에 자금을 공급하는 전통적 은행업에 주력했다면 투자 은행은 유가증권 인수를 통한 자금 공급을 주업으로 한다. 쉽게 말해서 증권회사와 유사한데 자본시장에서 유가증권 발행을 통한 자금조달 주선 업무를 주로 하는 딜러 (dealer)나 중개인(broker)을 말한다.

 

투자은행의 업무

당국의 엄격한 규제와 지원 하에 안정적으로 자산을 운용하는 상업은행과 대비되는 투자은행은 자기자본금을 활용하여 글로벌 금융시장에 과감히 투자했으며 자산관리, 모험자본, M&A 중개, 각종 파생상품 판매 등 비교적 리스크가 높은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였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미국의 리먼브러더스 메릴린치 베어스턴스 등 다수의 대표 투자은행들이 위기를 맞고 상업은행으로 합병 파산되었다.

 

한편 우리나라는 2011년 자본시장통합법 제정 이후 금융투자회사의 대형화를 추진해왔는데 2017년 11월 자기 자본이 4조 원을 넘는 5개를 초대형 투자은행으로 지정하고 제한적으로 일부 단기금융업무를 허용하는 조치를 취하였다. 초대형 투자은행으로 지정되고 단기금융업 인가를 받으면 자기 자본의 2배 한도 내에서 발행어음 업무를 할 수 있고 동 어음 발행을 통해 조달한 자금의 50%는 기업금융에 투자하도록 하였다.

 

 

연관검색어 : 자본시장통합법

 

경제용어-자본시장통합법

자본시장 통합법 증권거래법, 간접투자자산운용업법, 신탁업법 등 자본시장 관련 6개 법률을 통합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2009년 2월 시행)을 말한다. 자본시장통합 법률의 목

godan.tistory.com

 

출처 : 한국은행

 

 

 

반응형

댓글